검사정보 |
* 임상적 의의
ADH는 항이뇨작용과 혈관 수축작용을 한다. 항이뇨작용은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 대해서 작용하고 신장의 삼투압에 따라 물의 재 흡수를 촉진한다. 혈관수축작용은 모세혈관의 평활근 수축을 자극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분비량은 체내 혈액량과 혈액 삼투압의 변화에 대해 수용체가 작용하여 뇌하수체 후엽에서의 분비를 조절한다. 혈액량은 우심방벽 대동맥, 경동맥종의 수용기로 삼투압은 시상하부 부분의 수용기로서 감지되고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기관으로 있는 시상하부 시상 위쪽핵에 전달된다. 출혈이나 탈수,수분 섭취제한, 수술등의 경우에 상승한다. ADH의 측정은 심인성다뇨증과 수분제한 시험에 의해 신성요붕증과 구별하는데
지표가 된다.
* 주의사항
2000G/15분 원심분리 후 10분안에 분리하여 동결
*유의사항
ADH는 혈소판에 다량 존재하여 혈소판이 파괴되면 방출되어 증가하므로 EDTA 전용용기를 사용한다.
증가: ADH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 신성뇨붕증, 이소성ADH산생종양, 고칼슘피증,만성신부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