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인 케이씨엘의료재단

검사코드 2422 검체용기
검사분류 기타-GFR
검사명(한글) Ca.ionized(ISE)
검사명(영문) Ca.ionized(ISE)
검사명(약어) Ca.ionized(ISE) 검체용기명 SST (혈액5.0mL)
단위 mmol/L 참고치 1.05 - 1.35
보존방법 채취 전 : 실온 보험코드 D2810020Z
검사수가 5,890 관련질환 저칼슘혈증,부갑상선기능검사
검사정보 * 임상적 의의 심장수술을 하는 동안이나 신생아기에 신장기능과 내분비 이상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결과 판정(free calcium의 측정이 유리한 경우) 임신중 - 혈청 albumin이 떨어지면서 total calcium이 떨어지나 free calcium 은 변하지 않는다. Major surgery를 받고 있는 환자 - Citrated blood, platelets, heparin, bicarbonate, intravenous solutions, calcium등이 들어가고 있는 경우에 pH 및 체온의 변화를 가져오므로 free calcium의 측정이 유리하다. ICU에 있는 환자 - Abnormal protein levels와 albumin 과 결합하는 calcium에 영향을 미치는 알수 없는 요인들이 있기때문이며, 이런 중환자에서 실제로 비정상적으로 낮은 free calcium levels 를 보인다 Renal disease환자 - Hypercalcemia의 진단 - free calcium의 측정이 더 sensitive하다. Neonate - Hyperphosphatemia및 pH의 변화 때문에 유용하다. 혈중의 칼슘은 약 50%가 이온화 된 상태(ionized calcium)로 존재하고 나머지는 주로 혈장단백인 알부민에 결합해 있다. 여기서 생리적으로 중요한 것은 ionized calcium이다. 혈장 총 칼슘농도의 저하는 비교적 흔한 소견으로 입원 환자의 약 5~8%에서 관찰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부분의 원인은 저알부민혈증 때문입니다. 알부민 감소로 인한 칼슘농도 저하시 ionized calcium의 농도( [Ca2+] )는 정상을 유지하고 있어 임상적으로 저칼슘혈증(hypocalcemia)에 의한 문제는 없다. 증가: Serum calcium은 그의 50%가 Ion화되어 있고 40%가 Serum protein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Calcium대사에 이상이 없어도 Serum protein이 낮으면 혈중 Calcium도 낮아진다. 또한 약 10%는 Citrate, Inorganic phosphorus와의 복합체 형태로 존재한다. Calcium치의 해석은 Inorganic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치와 연관시켜 평가한다.Vit D 과잉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악성종양, Addison병 등 감소: 부갑상선기능저하증, Vit D 결핍증, 골연화증, 신부전증, 항간질성 약물 장기간 투여 시 등 저칼슘혈증의 원인: 신부전, 급성췌장염 등이 흔하고 그 다음으로 칼슘의 대사와 관련해 섭취 부족, 골격으로 부터의 유출 감소, 골격으로의 흡수 증가 등이 원인이 된다. 대량 수혈, 혈중 마그네슘의 감소, 중환자에서도 저칼슘혈증이 보인다. 신부전(renal failure)시에는 인산의 농도가 증가하면 그 보상작용으로 저칼슘혈증이 나타난다. 비타민D 부족시 칼슘의 장내 흡수 저하로 저칼슘혈증이 생긴다.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으면 골격으로부터 칼슘을 유출시키는 부갑상선호르몬의 부족으로 저칼슘 혈증이 나타난다. 갑상선이나 부갑상선 제거 수술 후에, 그리고 전립선암과 같이 골을 생성하는 악성종양의 골전이가 있으면 골격으로의 칼슘 흡수가 증가해 저칼슘혈증이 나타난다. 신생아의 경우에는 생후 3일 까지는 생리적으로 저칼슘혈증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칼슘치가 정상보다 낮게 나오면 혈중 알부민 레벨과 신기능, 그리고 혈중 마그네슘 농도를 확인해 보고 이들이 정상이면 부갑상선 질환이나 비타민D 부족은 없는지 임상의와 상의하여 조사해보면 된다. * 채취방법 및 주의사항 1. 채혈 후 뚜껑 오픈하면 안 됨(밀폐용기 사용 권장)-결과수치 떨어짐 2. hemolysis, lipemic 부적합 3. 응급검사 *부갑상선 기능 검사 혈액, 소변 Ca, phosphorus 혈중 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