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정의>
보체 결합성은 없다. 점액, 누, 타액, 요, 모유 같은
분비액에 제일 많은 Ig로 분비되는 과정에서 항체분자의
기본구조 물질인 secretory piece라고 하는 당단백에 의해
2분자가 결합되어 분비형 IgA로 된다. 생체외로부터 세균
등이 침입하기 쉬운 부위, 즉 구강, 인두, 기과지, 소화관
등의 점막에 존재하여 세균등의 미생물과 결합하여 체내로의
침입을 막는 국소면역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임상적 의의>
이종물질이 체내에 들어와 생체세포를 자극하여 생성되는
γ 분획의 혈청단백 즉, 면역항체를 말하며 모든 포유동물의
혈청이나 조직의 체액중에 존재 한다. Immunoglobulin은 주로
B림프구(lymphocyte)에서 생성되며 heavy chain과 light chain의
두 가지의 polypeptide ch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의
immunoglobulin은 성상의 차이에 따라 IgG, IgA, IgM, IgD,
IgE로 분류되며 각각 특이성에 따라 immunoelectrophoresis의
pattern은 다르다.
임상적으로 Ig class별 정량은 IgG, IgA, IgM을 동시에
측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M단백혈증 또는
원발성면역부전증에서는 3가지 Ig의 정량치를 조합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관련검사>
Protein EP, Immuno EP
<증가를 보이는 질환>
① Polyclonal gammopathy : 만성간질환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 Lupoid간염),
급성간염 회복기, 감염증(폐결 핵, 아급성심내막염, 나병,
전염성단핵구증, 연쇄상구균 감염증), 교원병(SLE, RA,
기타 자가면역 질환), 악성 종양(특히 감염증 합병 증세) esc.
② Monoclonal gammopathy : 다발성골수종, 고립성골수종,
형질세포성백혈병, 본태성 M단백혈증, heavy chain disease
③ 질적 이상을 수반한 증가(thermoproteinemia) :
pyroglobulinemia, cryoglobulinemia
<감소를 보이는 질환>
① 선천성 : 원발성면역부전증(무 또는 저-globulin혈증,
Good증후군, Gitlin type 저면역globulin혈증, Swiss type
저면역globulin혈증, Bruton type 저면역globulin혈증, 유아
생리적저역globulin혈증), dysgammaglobulinemia
type I, type II, IgA 단독결손증, ataxia telangiectasis
② 속발성 : 림프구계 종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