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생화학적으로 성상이 확실하지 않은 점이 많은 IgD는 정상적으로는 혈청내에 미량만이 존재하며, 임상적으로도 다발성 골수종 이외에는 의의가 밝혀지지 않았다. Monoclonal IgD는 통상적으로 IgG, IgA,IgM 항혈청만을 주로 사용하는 혈청 단백면역 전기영동상에서 검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IgD 골수종이 의심되는 경우 monoclonal protein의 양을 monitor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관련검사>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Bence Jones 단백,Immunoelectrophoresis, Immunofixation electrophoresis
<증가>
IgD형 다발성 골수종 , 형질 세포성 백혈병
<감소>
무감마글로불린혈증
<검체채취 방법 및 주의사항>
① 고형재료, 점액성 재료는 불가하며, 혈청 및 혈장을 제외한 검체는 불가능하다
② 검체 채취 용기는 원칙적으로 유리 튜브. 폴리비닐 계통의 용기 이외의 것은 불가하다.
③ 검체를 채취하는 즉시 냉장보관 하며, 1개월 이상 장기간 보관시는 냉동보관한다. 반복 사용할 검체의 경우 얼렸다 녹였다 반복하지 않는다.
④ 각 Ig class 정량이 임상적으로 필요한 경우는 혈청단백분획에서 γ분획치가 이상을 나타나는데 따라 Ig 이상도
수반하므로 Ig 각 class 치를 조합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