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코드 | 5118 | 검체용기 |
|
---|---|---|---|
검사분류 | 기타-GFR | ||
검사명(한글) | IgD | ||
검사명(영문) | IgD | ||
검사명(약어) | IgD | 검체용기명 | SST (혈액5.0mL) |
단위 | mg/dL | 참고치 | <13.21 mg/dL |
보존방법 | 채취 전 : 실온 | 보험코드 | D7410020Z |
검사수가 | 8,760 | 관련질환 | 면역글로불린 검사 |
검사정보 | 생화학적으로 성상이 확실하지 않은 점이 많은 IgD는 정상적으로는 혈청내에 미량만이 존재하며, 임상적으로도 다발성 골수종 이외에는 의의가 밝혀지지 않았다. Monoclonal IgD는 통상적으로 IgG, IgA, IgM 항혈청만을 주로 사용하는 혈청 단백면역 전기영동상에서 검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IgD 골수종이 의심되는 경우 monoclonal protein의 양을 monitor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관련검사>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Bence Jones 단백, Immunoelectrophoresis, Immunofixation electrophoresis <증가> IgD type 다발성 골수종 (통상 100-700 mg/dL을 나타냄), 형질 세포성 백혈병, 고립성 골수종, 간암, lupoid 간염, Hyper IgD를 동반하는 원발성 면역결핍 증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