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코드 | 5124 | 검체용기 |
|
---|---|---|---|
검사분류 | 기타-GFR | ||
검사명(한글) | Arsenic(As) | ||
검사명(영문) | Arsenic(As, 비소) | ||
검사명(약어) | Arsenic(As) | 검체용기명 | Trace element EDTA tube 중금속전용용기 (혈액 6.0mL) |
단위 | μg/L | 참고치 | <12.0 ng/mL |
보존방법 | 채취 전 실온(1년) | 보험코드 | D5511030Z |
검사수가 | 30,010 | 관련질환 | 비소 중독 |
검사정보 | Arsenic(As, 비소)의 노출 및 중독 평가 비소는 음용수, 수산물, 미세먼지 등을 통해 체내로 유입되며, 간에서 주로 대사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독성이 있는 무기비소(As3+, As5+)와 독성이 적은 유기비소(DMA, MMA, AsB)로 분류되며 무기비소는 사람에게 발암성이 있다. 비소 과다 취 시 acetyl CoA와 ATP의 생산억제와 단백의 3차 구조 파괴에 의한 기능 저하 등으로 급, 만성 중독 증상을 초래함. <증가> 비소 만성중독(흑피증, 각화증, 피부암), 비소 급성중독(두통, 구토, 설사, 달, 빈혈, 근경련, 말초신경장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