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정의>
Lactate는 2가 음이온 유기산으로 혐기성 해당의 종말 대사물로 pyruvic acid가 환원된 물질로 산염기 평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주로 골격근, 적혈구, 뇌, 피부, 장관 등에 존재하며 신장에서 TCA cycle이나 당신생계(gluconeogenesis system)의 기질로서 이용된다. 혈중 lactate가 증가하는 것은 NADH/NAD비가 일정하여 pyruvic acid 생성이 증가할 때와 NADH의 산화에 장애를 받을 때이다. 대부분이 간이나 신장에서 TCA cycle이나 당신생계의 기질로써사용된다.
<임상적 의의>
1가 음이온 유기산으로 혈중에 존재하여 산염기 평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Lactate acidosis는 lactate의 이상 증가로 인하여 acidosis에 이르는 질환을 의미하고,당뇨병성 ketoacidosis나 신부전과 함께 대표적인 대사성
acidosis이다.
<증가>
Lactate 증가를 나타내는 질환으로는 shock (9 mmol/L 이상에서는 95%의 사망율), 심장질환, 폐질환, 당뇨병, 간질환, 악성종양, alcohol 및 약물, 선천성 대사질환 등
[검체채취 방법 및 주의사항]
① 식사나 근육운동을 피하고 가능한 한 구혈대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채혈한다. 단순히 손을 쥐는 동작으로도 손의 근육에서 방출되는 lactic acid에 의해 혈중농도는 증가한다.
② 검체를 전혈 그대로 방치하면 적혈구내 해당으로 lactic acid가 생겨 실제보다 높은 농도로 된다. 해당 저지제를 첨가하거나곧바로 혈장을 분리하여 냉장 보관하고 수시간 이내에 측정한다. 장기간 보존에는 전혈 또는 혈장을 perchlorate 로 처리하고 그 추출액을 동결보관한다.
③ 혈장이나 CSF를 사용한다. 혈청검체는 사용하지 않는다.
④ 항응고제로 sodium fluoride와 fluoride/oxalate 그리고 fluoride/heparin을 사용한다.
⑤ 검체 채취 후 15분 이내에 원심분리 해서 검사한다.
⑥ 혈장 검체는 실온에서 2시간, 냉장에서 2일간 안정하다.
⑦ CSF 내의 유산염은 실온에서 3시간, 4℃에서 24시간, -20℃에서 2달간 안정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