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정의>
임상검사에서 측정하는 것은 ammonia(NH4)가 아니라
그 ammonia중에 함유된 질소(N)량으로 정확하게는
혈중 ammonia 질소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ammonia
질소를 정량함에도 불구하고 임상적으로는 이것을 ammonia라
부르고 있다.
<임상적 의의>
혈장 NH3는 비단백 질소화합물로서 간에서
diamination, 신장에서는 적은 양이지만 glutamine으로부터의
산생, 그리고 소화관에서 장내 세균에 의한 단백질 분해산물의
흡수 등으로 이루어지며, 혈류를 거쳐 간으로 운반되어
urea cycle에서 urea로 합성되거나 amino acid로 변환 되며,
소위 해독작용을 하여신장에서 ammonia염으로 배출된다.
간 실질에 병변이 있을 때, 해독되지 않고 혈중 농도가
증가하여 간에서의 TCA cycle에 영향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켜 의식 장애나
혼수상태(간성혼수;comma)
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요소합성 기능이
저하되므로 ammonia 농도는 간세포 장애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있다.
<관련검사>
Protein total, albumin, AST, ALT
<증가를 보이는 질환>
간경변, 전격성간염, 간내 Shunt, 간외 Shunt,
선천성 요소cycle효소결손증(citru
linemia), 선천성 amino acid 대사이상증(glycinemia),
Reye 증후군, shock, anoxia, 신생아의 일과성 고ammonia혈증
<감소를 보이는 질환>
저단백 식이, 빈혈, 약물(항생물질, lactu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