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정보 |
난소예비능 및 폐경예측과 난소암등의 난소질환의 진단 및 추적관찰의 지표
* 검사의 장점
1) 현재 FSH 검사와 비교시 다른 호르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다.
2) 젊은 연령에서부터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3) 기존 지표에 비해 난소기능 평가와 과배란유도의 반응 예측
4) 난소질환의 지표 및 난소기능 보존의 평가지표로 매우 유용한 검사
5) 원시난포개수와 AMH농도는 좋은 상관계수를 보인다.
* 검사정보
여성 연령의 증가에 따른 난소기능의 감소와 생식능력의 감소를
반영하는 지표는 FSH, E2 등의 혈액학적 지표와 초음파로 관찰한
난소의 크기와 난포의 개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혈액학적 지표들은 생식능력의 감소에 비하여
변화가 심하며, 매월경 주기별 측정치의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난소 기능의 평가의 지표의 한계가 있다. 초음파 지표는 검사자에
의한 변이가 심하고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AMH 검사는 여성태아에서도 36주경부터 난소의 과립막세포에서 생성
분비가 되기 시작하여 폐경직전까지 분비가 되고 난소의
성장조절인자로도 알려지기도 한다. 이 AMH는 여성노화에 따른
난소기능 감소를 반영하는 지표와 체외수정을 위한 과배란 유도 시
난소 반응 예측 지표, 다낭성 난소증후군, 난소암 등의
난소질환의 진단 및 추적관찰 지표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증가>
다낭성 난소증후군
<감소>
난소기능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