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인 케이씨엘의료재단

분류 제목
진단검사 결핵 환자와 접촉 한지 2주 정도 된 임산부인데 어떤 검사를 해야 하나요?
활동성인지 확인하기 위해 AFB stain/ AFB Culture/ MTB-PCR 검사를 진행하여 결핵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진단검사 1. Factor VIII Ab 검사와 Factor VIII (functional) 검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 혈우병을 검사하려고 할 때, Factor IX Ab와 Factor IX (functional)도 함께 봐야 하나요?

1. Factor VIII (functional) 검사는 factor VIII 활성도를 측정하여 %로 나타냅니다. Factor VIII Ab 검사는 factor VIII의 기능을 억제하는 inhibitor를 검출합니다.

2. 혈우병 인자 구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Factor VIII (Hemophilia A), IX번 (Hemophilia B), XI (Hemophilia C)를 같이 검사해야 합니다.

진단검사 MAST 검사 증상이 발현되었을 때 검사 시 정확도가 높아진다고 했는데 정확도가 얼마나 되나요?
정확도는 96%입니다.  증상 발현 후 하루 정도 지났을 경우 없을 때보다 수치가 높게 나타납니다.
진단검사 TBPE 결과가 양성으로 나올수 있는 약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TBPE는 대마계열이외 거의 모든 약물에서 양성반응이 있습니다(고농도카페인 섭취 시 양성).
그러나, 이 검사는 위양성이 많은 검사로 감기약(ex:에페드린성분) 또는 고카페인 음료, 김치, 천식약 등 복용 시 위양성이 나올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제제로 위양성 사례는 보고된바 없으나 스테로이드제제 성분중의 진통소염제 성분 때문에 위양성이 보고된 적이 있습니다. 
진단검사 ASO결과로 성홍열 진단이 가능한가요?
혈액검사만으로 진단할 수 없고 Throat culture 결과,임상소견과 함께 판단해야 합니다.
진단검사 HBsAg, HBsAb 결과가 모두 positive 나온 것은 어떤 경우인가요?
이는 HBV에 변이가 발생하여 mutant HBV에 다시 감염되었거나,
HBsAg과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비특이적인 항체가 발생한 경우 등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추후 재검하시기 바랍니다.
진단검사 매독관련검사인 RPR(정밀) 검사에서 Reactive가 나오면 매독에 걸린 것인가요?
매독진단의 선별검사로 RPR검사를 시행하는 것이므로 reactive라고 해서 모두 매독은 아닙니다. 생물학적 위양성(임신,여러가지 바이러스 감염병, 결핵, 결체조직 질환, 나병,SLE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TPLA나 FTA-ABS 등의 확인검사를 권유합니다.
진단검사 전해질 검사상 Potassium이 생각보다 너무 높게 나왔는데 이유가 무엇입니까?
혈액은 적혈구 등 세포 부분과 혈장, 혈청 등의 액체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otassium같은 전해질은 우리 몸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데 분포 장소 또는 조직에 따라 그 구성 성분이 다릅니다. 
혈액 중에 있는 혈구와 혈청에도 다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분포 비가 적혈구23:혈청1 로 분포된 량의 차이가 많으며 1% 적혈구 용혈시 +24%의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혈구가 미량이 깨지기만해도 혈청내의 Potassium 수치에 영향을 주게되고 높게 나오게 됩니다.
실제로 검체의 분리지연(전혈을 보관시), 분리 전 냉장보관, 검체의 용혈 등에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혈 후 빠른시간 내에 혈청을 분리하여 주십시오. Potassium(K)이 높을 경우 재검사를 권유 합니다.
진단검사 신생아 혈액형 검사를 하다보면 cell type과 back type이 불일치한 경우가 있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신생아는 미성숙한 면역체계로 인해 아직 완전히 항체를 생성하지 못하며, 체내에 존재하는 혈액형 항체의 대부분은 모체로부터 비롯됩니다.
따라서 신생아의 ABO혈액형 검사 시에는 혈구는 아기의 유전적으로 결정된 혈액형이고 항체는 모체로 부터 받은 것이어서 아기와 엄마의 혈액형이 다른 경우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신생아의 경우에는 혈구 검사만 일단 실행하고, 혈청형 검사는 실시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혹시 실시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생후 6개월 이후에 다시 검사하여 확인 하실 것을 권합니다.
진단검사 25-OH Vit.D, 1,25-(OH)2 Vit.D 임상적 의의 및 검사방법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혈 중 Vit.D는 25-OH VitD, 1,25-(OH)2 Vit.D 두 가지 형태로 순환하며 이 중 비활성 전구체인 25-OH Vit.D는 반감기가
비교적 길고(약 2-3주), Vit.D-결합단백질과 결합하여 혈 중 내 순환하기 때문에 25-OH Vit.D 형태가 총체적인 체내 Vit.D
상태를 반영합니다. 하지만 일조량 차이, 계절 등에 따른 결과치에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름에 높고 겨울에 낮습니다.)
반면, 1,25-(OH)2 Vit.D는 활성형 비타민으로 반감기는 4시간이며 칼슘 항상성 유지와 뼈 대사에 직접적 역할을 하게 되지만
체내 부족이 있는 경우라도 정상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증가하기도 하므로 체내 Vit.D와의 관련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검사실에서는 체내 Vit.D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25-OH Vit.D를 측정합니다. 또한, 혈 중 25-OH Vit.D의 95% 이상은
Vit.D3 형태로 측정되고 Vit.D2는 상대적으로 소량 존재하지만 환자가 제제를 통해 Vit.D2를 복용한 경우
(Vit.D2 수치 상승으로 인해) 25-OH Vit.D 수치는 상승될 수 있습니다.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마지막